반응형 단어용어92 하루 이틀 우리말 날짜 세는 법 한글로 날짜 표현 (1일부터 100일까지)우리말 날짜 읽기하루 / 1일이틀 / 2일사흘 / 3일나흘 / 4일닷새 / 5일엿새 / 6일이레 / 7일여드레 / 8일아흐레 / 9일열흘 / 10일열하루 / 11일열이틀 / 12일열사흘 / 13일열나흘 / 14일열닷새 / 15일열엿새 / 16일열이레 / 17일열여드레 / 18일열아흐레 / 19일스무날 / 20일서른날 / 30일마흔날 / 40일쉰날 / 50일예순날 / 60일일흔날 / 70일여든날 / 80일아흔날 / 90일백날 / 100일날짜 읽기열하루 / 11일열이틀 / 12일열사흘 / 13일열나흘 / 14일열닷새 / 15일열엿새 / 16일열이레 / 17일열여드레 / 18일열아흐레 / 19일스무날 / 20일스물사흘 / 23일서른사흘 / 33일마흔다섯날 / 45일쉰아.. 단어용어 2025. 1. 11. 더보기 ›› 몇일 / 며칠 몇일 / 며칠 차이"몇일"과 "며칠"은 자주 혼동되는 표현이지만, 표준어는 "며칠"입니다.며칠"며칠"은 "몇"과 "일"이 합쳐진 형태로, '얼마나 되는 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시간의 경과나 특정 날짜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용례: "그가 여행을 떠난 지 며칠이 지났을까?"용례: "며칠 동안 쉬었더니 기운이 많이 회복되었다."몇일"몇일"은 잘못된 표현으로,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문장에서 "며칠"로 고쳐 써야 올바른 표현이 됩니다.정리표준어: 며칠비표준어: 몇일올바른 표현을 사용하여 문장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어용어 2025. 1. 11. 더보기 ›› 낫다 / 낮다 / 낳다 / 낟다 낫다 / 낮다 / 낳다 / 낟다 차이"낫다", "낮다", "낳다", "낟다"는 발음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이지만, 각각의 의미와 사용 상황은 전혀 다릅니다.낫다"낫다"는 상태가 이전보다 좋아지거나 병이 회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비교 대상보다 더 우월하거나 뛰어남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용례: "감기가 다 나아서 이제 괜찮다."용례: "그는 다른 사람들보다 성격이 낫다."용례: "이 방법이 저 방법보다 훨씬 낫다."낮다"낮다"는 높이나 위치, 또는 수준이 비교적 아래에 있음을 뜻합니다. 이는 물리적 높이나 추상적 수준 모두를 포함합니다.용례: "이 산은 저 산보다 낮다."용례: "시험 점수가 예상보다 낮아서 실망했다."용례: "그 건물의 천장이 너무 낮아서 불편하다."낳다"낳다"는 생명을 .. 단어용어 2025. 1. 11. 더보기 ›› 가르치다 / 가리키다 차이와 용례 가르치다 / 가리키다 차이"가르치다"와 "가리키다"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와 사용 상황이 전혀 다릅니다.가르치다"가르치다"는 지식, 기술, 행동 등을 누군가에게 알려주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다"는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새로운 지식을 전달한다는 뜻입니다. 이 단어는 교육적 맥락에서 주로 사용되며, 배우는 사람이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거나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행위에 초점을 맞춥니다.용례: "어머니가 아이에게 올바른 식사 예절을 가르치다."용례: "그는 친구에게 기타 연주법을 가르쳤다."가리키다"가리키다"는 특정한 대상이나 방향을 손가락이나 도구로 지적하거나, 어떤 대상을 암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손으로 지도를 가리키며 목적지를 설명했다".. 단어용어 2025. 1. 11. 더보기 ›› 헷갈리는 단어와 맞춤법 목록 한국어에서 헷갈리는 단어와 맞춤법 목록띄어쓰기 관련그럼에도 불구하고 / 그럼에도불구하고아는 사람 / 아는사람잘 되다 / 잘되다되어지다 / 되다다시 한 번 / 다시한번올 듯하다 / 올듯하다뛰어 넘다 / 뛰어넘다해 낼 것이다 / 해낼 것이다물 만난 고기 / 물만난 고기하루 종일 / 하루종일이 만큼 / 이만큼너 만큼 / 너만큼할 만하다 / 할만하다볼 만하다 / 볼만하다알 만하다 / 알만하다믿을 만하다 / 믿을만하다볼 수 있다 / 볼수있다할 수 있다 / 할수있다갈 만하다 / 갈만하다읽을 만하다 / 읽을만하다맞춤법 관련되 / 돼예 / 에낫다 / 낮다맞히다 / 마치다붓다 / 붙다닫히다 / 닫치다젖히다 / 제치다이르다 / 일다가라앉다 / 가라않다부딪히다 / 부딪치다얻다 / 얻어엉기다 / 엉키다곯다 / 고르다낫다 /.. 단어용어 2025. 1. 11. 더보기 ›› 중과부적(衆寡不敵) 뜻과 용례 중과부적(衆寡不敵)1. 한자 풀이衆(무리 중): 많은 무리, 대다수.寡(적을 과): 적은 수, 소수.不(아닐 부): 아니다.敵(적수 적): 적대하거나 맞선다.따라서 중과부적(衆寡不敵)은 "많은 무리를 적은 수가 당할 수 없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2. 뜻 풀이"중과부적"은 상대방의 수적 우세나 압도적인 힘 앞에서 저항하기 어렵다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는 단순히 수의 많고 적음을 넘어 상대의 역량, 자원, 권력 등에서 월등한 차이가 날 때 사용됩니다. 이 고사성어는 무리한 도전을 경계하며, 현실적인 상황 판단과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싸움에서 적군이 월등히 많거나, 경쟁에서 상대가 훨씬 강할 때 "중과부적"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이 말은 무작정 도전하기보다는 냉철하게 상황을 분.. 단어용어 2024. 12. 4. 더보기 ›› 힌두교의 신들 힌두교에 등장하는 신들힌두교(Hinduism)는 다신교적 종교로, 수천 명의 신과 여신을 포함하는 방대한 신화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신들은 우주의 다양한 원리와 인간의 삶의 측면을 상징하며, 각각 고유한 역할과 상징성을 지닙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힌두교의 주요 신들을 창조, 유지, 파괴, 여신, 기타 중요한 신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창조의 신 - 브라흐마 (Brahma)역할과 상징: 브라흐마는 우주의 창조자이며 힌두교 삼신 일체(트리무르티)의 한 축을 이루는 신입니다. 그는 모든 생명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지식과 지혜의 상징으로도 간주됩니다.외형: 네 개의 머리와 네 개의 팔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머리는 베다(힌두교의 성전)를 상징합니다. 백조(Hamsa)를 타고 다니며, 연꽃.. 단어용어 2024. 11. 29. 더보기 ›› 힌두교 역사와 개념 힌두교란 무엇인가?힌두교(Hinduism)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중 하나로,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하여 오늘날까지 약 10억 명 이상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힌두교는 단일한 신념 체계나 창시자가 없는 복합적이고 유연한 종교로, 철학적 사유와 의식적 실천을 포괄합니다. 힌두교는 단순히 종교라기보다는 문화적, 철학적, 그리고 영적 전통의 집합체로 여겨지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1. 힌두교의 기원과 역사힌두교는 기원전 1500년경 인도 아대륙의 베다 문명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초기 힌두교의 뿌리는 아리안 민족이 남긴 베다(Veda) 경전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당시 자연과 우주, 인간의 삶에 대한 시적 묘사와 제의 중심의 종교적 실천을 담고 있습니다. 이후 베다 철.. 단어용어 2024. 11. 29. 더보기 ›› 고사성어: 가도벽립 (家徒壁立) 고사성어: 가도벽립 (家徒壁立) 한자 풀이家(가): 집, 가정.徒(도): 헛되다, 텅 비다.壁(벽): 벽, 집의 벽면.立(립): 서다, 존재하다.가도벽립은 "집안에 텅 빈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집안이 매우 가난하고 아무것도 없는 상태를 묘사합니다. 뜻집 안에 텅 빈 벽만 서 있을 정도로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로, 재산이나 생활 기반이 전혀 없이 매우 가난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가도벽립은 극심한 빈곤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사람이나 가정이 아무런 물질적 여유도 없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해설가도벽립은 고대 중국에서 가난의 극치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집안에 사람이 살고는 있으나, 집 안을 채울 물건이나 재산이 없어 텅 빈 벽만 덩그러니 남아 있는 상황을 뜻합니다. 이 표현은 .. 단어용어 2024. 11. 20. 더보기 ›› 에세이, 가담항설(街談巷說) 가담항설과 현대 사회의 소문거리와 골목에서 오가는 이야기, 즉 가담항설(街談巷說)은 고대 중국에서 비롯된 고사성어로, 사람들 사이에서 떠도는 소문과 근거 없는 이야기를 뜻한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시장, 거리, 골목 같은 공개된 장소에서 대화를 나누며 이런저런 이야기가 퍼지곤 했다. 그중에는 진실이 섞인 이야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과장되거나 왜곡된 소문이 많았다. 이처럼 소문은 그 출처가 불분명하며, 실제로는 사실과 다른 경우가 많다. 오늘날 우리는 고대의 거리 대신 인터넷과 SNS라는 새로운 골목과 거리를 통해 소문이 퍼지는 것을 목격한다. 가담항설은 옛말이지만, 그 의미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소문은 어떻게 형성되고 퍼지는가?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좋아한다. 정보와 의견을 교환하며.. 단어용어 2024. 11. 20. 더보기 ›› 빈대와 관련된 속담 빈대속담빈대는 아주 작은 곤충입니다. 속담에서 빈대는 매우 작은 일상이나 사소한 것을 말합니다. 빈대와 관련된 한국 속담은 아래와 같습니다. 빈대의 특징빈대는 사람이나 동물의 피를 빨아먹는 기생곤충으로, 약 5~7mm 크기의 타원형 몸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밤에 활동하며 숙주의 침대나 가구 틈에 서식합니다.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 가능하고, 장기간 먹이를 먹지 않아도 버틸 수 있어 구제가 어렵습니다. 빈대에 물리면 가려움증과 붉은 반점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위생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행이나 중고 가구를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운다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운다"는 작은 문제를 해결하려다 더 큰 손해를 입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빈대는 .. 단어용어 2024. 11. 20. 더보기 ›› 육개장 육계장 육게장 맞춤법 육개장 육계장 육게장 맞춤법 맞춤법결론부터 말하면 육개장(○) 육계장 (×) 육게장 (×) 맞춤법 육개장(○)육계장 (×)육게장 (×) 왜 육계장이 아니라 육개장일까? 어원을 보면 원래 개장국이었다고 합니다. 개는 우리가 키우는 개를 말합니다. 예전에는 개를 식용으로 많이 사용했었죠. 그러다 개의 식용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높아지면서 서서히 개가 아닌 소고기를 삶아 찢어 넣으면서 개장국이 육개장으로 바뀐 것입니다. 개장국 ▶ 육개장 그 외 맞춤법 몇일 ▶ 며칠오랜맛에 ▶ 오랜만에어떻해 ▶ 어떻게 해일일히 ▶ 일일이왠일 ▶ 웬일돼다 ▶ 되다설겆이 ▶ 설거지 한글이 모국어 쉬어 보이지만 배우면 배울수록 어렵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하여튼 오늘은 육개장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육개장 맛있게 끊이는 법.. 단어용어 2024. 11. 19.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