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생식물 특징과 종류

@지식창고 2024. 7. 30.
반응형

부생식물

부생식물은 사체나 부패물에서 영양분을 얻어 자라는 식물입니다. 이들은 다른 생물체의 잔해나 배설물에서 유기물을 흡수하여 성장합니다. 부생식물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죽은 생물체를 분해하고 영양분을 재순환하는 데 기여합니다. 부생식물이 없다면 자연은 그야말로 엉망이 되고 말 겁니다. 모든 것은 순리대로 돌아가야 합니다. 생물을 다시 무기물의 형태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것이 부생식물입니다. 자연의 순환에 큰 기여를 합니다.

 

주요 특징

  1. 영양 흡수: 부생식물은 살아있는 생물체가 아닌, 죽은 유기물에서 영양을 흡수합니다. 이러한 유기물은 주로 죽은 식물이나 동물의 잔해, 배설물 등이 포함됩니다.
  2. 환경 적응: 부생식물은 습한 환경에서 잘 자랍니다. 이러한 환경은 죽은 유기물이 빠르게 분해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합니다.
  3. 예시: 부생식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버섯과 같은 균류가 있습니다. 이들은 죽은 나무, 낙엽, 그리고 다른 부패물에서 영양분을 얻어 자랍니다.
  4. 생태계 역할: 부생식물은 죽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생태계에서 중요한 영양 순환 과정을 돕습니다. 이들은 생태계의 "청소부" 역할을 하며, 영양분을 재분배하여 다른 생물체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부생식물의 특징

  • 영양 순환: 죽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다른 식물들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환경 정화: 죽은 유기물의 축적을 방지하고,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 생물다양성: 다양한 부생식물이 존재함으로써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합니다.

 

부생식물 10가지

부생식물 종류입니다. 포괄적인 용어로 설명한 것입니다. 워낙 개체가 다양하기 때문에 우리가 아는 흔한 용어를 빌려왔습니다. 하단에는 우리나라에서 기색하는 부생식물입니다.

 

1. 버섯 (Mushrooms)

  • 특징: 다세포 진균으로, 죽은 나무, 낙엽 등에서 자라며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가집니다.
  • 예시: 표고버섯 (Shiitake), 송이버섯 (Matsutake)

2. 곰팡이 (Molds)

  • 특징: 균사로 구성된 다세포 진균으로, 음식물, 나무, 흙 등에서 자라며 분해 작용을 합니다.
  • 예시: 페니실리움 (Penicillium), 리조푸스 (Rhizopus)

3. 이끼 (Moss)

  • 특징: 간단한 구조의 식물로, 습한 환경에서 자라며 죽은 나무나 낙엽을 분해합니다.
  • 예시: 폴리트리쿰 (Polytrichum), 피세콤 (Phycum)

4. 휘황화 (Mycorrhiza)

  • 특징: 식물의 뿌리와 공생하여 영양소를 교환하며, 죽은 유기물을 분해합니다.
  • 예시: 엑토마이코리자 (Ectomycorrhiza), 아르부스큘러마이코리자 (Arbuscular Mycorrhiza)

5. 인디언 파이프 (Indian Pipe)

  • 특징: 엽록소가 없고, 곰팡이와 공생하며 죽은 유기물에서 영양을 얻습니다.
  • 학명: Monotropa uniflora

6. 아티스트 폴 (Artist's Bracket)

  • 특징: 죽은 나무에 자라는 균류로, 큰 포자를 통해 번식합니다.
  • 학명: Ganoderma applanatum

7. 다갈색 뱀장어 (Brown Rot Fungi)

  • 특징: 주로 목재를 분해하여 썩게 만드는 균류입니다.
  • 예시: Serpula lacrymans

8. 귀리 균 (Oyster Mushroom)

  • 특징: 죽은 나무나 유기물에서 자라며, 식용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 학명: Pleurotus ostreatus

9. 갈색 꼬마 균 (Earth Tongue)

  • 특징: 죽은 나무나 낙엽에서 자라며, 검은 색을 띤 독특한 모양을 가집니다.
  • 학명: Geoglossum spp.

10. 붉은 뿌리 균 (Red Root Rot)

  • 특징: 나무의 뿌리를 분해하여 영양분을 얻으며, 붉은 색을 띠는 포자를 가집니다.
  • 학명: Heterobasidion annosum

우리니라 자생하는 부생식물 5가지

한국에서 유명한 부생식물 다섯 가지와 그 특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구상난풀 (Monotropa hypopitys)

  • 특징: 줄기가 연한 황갈색이며, 여러 개의 꽃이 달려있습니다. 구상나무 숲에서 자주 발견되며, 광합성을 하지 않고 죽은 유기물에서 영양을 얻습니다.
  •  

2. 수정난풀 (Monotropa uniflora)

  • 특징: 줄기가 순백색이고, 가을에 꽃이 핍니다. 암술머리가 흰색 또는 담황색입니다. 죽은 유기물에서 영양을 얻으며, 광합성을 하지 않습니다.

3. 나도수정초 (Monotropa japonoica)

  • 특징: 늦봄에서 여름 사이에 꽃이 피며, 줄기가 순백색입니다. 암술머리가 짙은 청자색으로, 죽은 유기물에서 영양을 얻습니다.

4. 노루발 (Chimaphila umbellata)

  • 특징: 죽은 유기물에서 영양을 얻으며, 반그늘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 작은 핑크색 꽃을 피우며, 잎은 윤이 납니다.

5. 꿩의다리 (Thalictrum uchiyamai)

  • 특징: 주로 습한 지역에서 자라며, 죽은 유기물에서 영양을 얻습니다. 꽃은 주로 여름에 피며, 노란색을 띱니다.

이 식물들은 한국의 다양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죽은 유기물을 분해해 영양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