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부부관련 고사성어
반응형
부부관련 고사성어
부부의 관계는 인류 보편의 주제이며, 유교 문화권에서는 부부 사이의 사랑과 덕목, 조화, 역할을 고사성어로 자주 표현하였습니다. 고사성어는 짧지만 풍부한 의미를 담고 있으며, 부부 사랑을 함축적으로 전하고 교훈을 남깁니다. 본 글에서는 고전에서 유래한 부부 관련 고사성어들을 소개하고, 그 뜻과 유래, 활용 방식을 함께 설명합니다. 각 성어는 고대 문헌에서 출전하였으며, 오늘날에도 결혼식 축사나 부부 상담, 문학적 표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부부라는 인간 관계의 핵심을 언어로 집약한 고사성어를 이해하면, 삶의 지혜와 함께 언어의 아름다움도 느낄 수 있습니다.
금슬지락 (琴瑟之樂)
- 한자풀이: 琴(거문고 금), 瑟(비파 슬), 之(~의 지), 樂(즐거울 락)
- 풀이: 부부가 거문고와 비파처럼 조화를 이루며 화목하게 살아가는 즐거움을 의미합니다. 《시경(詩經) · 소아》에 나오는 표현으로, 부부 사랑의 조화로운 모습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 유사 성어: 거안제미, 부창부수
해로동혈 (偕老同穴)
- 한자풀이: 偕(함께할 해), 老(늙을 로), 同(같을 동), 穴(구멍 혈)
- 풀이: 함께 늙고 함께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부부가 평생을 함께하고 마지막까지 동행하는 사랑을 나타냅니다. 《장자(莊子)》에 유래합니다. 결혼 서약이나 장례 문구 등에서 활용됩니다.
- 유사 성어: 백년해로, 연리지
백년가약 (百年佳約)
- 한자풀이: 百(일백 백), 年(해 년), 佳(아름다울 가), 約(약속할 약)
- 풀이: 백 년을 함께하자는 아름다운 약속이라는 뜻으로, 부부의 결혼 서약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말입니다. 고전에는 직접적 출처가 없으나 고사성어적 표현으로 예식 축사에서 자주 인용됩니다.
- 유사 성어: 백년해로, 해로동혈
연리지 (連理枝)
- 한자풀이: 連(이을 련), 理(결 박을 리), 枝(가지 지)
- 풀이: 다른 나무의 가지가 자라서 하나로 연결된 상태를 말하며, 부부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깊은 애정과 조화를 상징합니다. 《한서(漢書) · 동방삭전》에 유래합니다.
- 유사 성어: 해로동혈, 금슬지락
부창부수 (夫唱婦隨)
- 한자풀이: 夫(남편 부), 唱(부를 창), 婦(아내 부), 隨(따를 수)
- 풀이: 남편이 앞서 노래를 부르면 아내가 따른다는 뜻으로, 부부간의 조화와 화합을 나타냅니다. 《예기(禮記) · 예운》에 나옵니다.
- 유사 성어: 금슬지락, 동심동덕
상부상조 (相扶相助)
- 한자풀이: 相(서로 상), 扶(도울 부), 相(서로 상), 助(도울 조)
- 풀이: 부부가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이상적인 관계를 의미합니다. 고전 출처는 명확하지 않으나 사자성어로 널리 쓰이며, 어려움 속 동반자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 유사 성어: 동고동락
동고동락 (同苦同樂)
- 한자풀이: 同(함께할 동), 苦(쓸 고), 同(함께할 동), 樂(즐길 락)
- 풀이: 고통도 즐거움도 함께 나눈다는 의미로, 부부가 인생의 모든 순간을 같이하며 동반자로 살아가는 삶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 유사 성어: 상부상조
백년해로 (百年偕老)
- 한자풀이: 百(일백 백), 年(해 년), 偕(함께할 해), 老(늙을 로)
- 풀이: 백 년을 함께 늙어간다는 뜻으로, 부부가 오래도록 함께 살아가기를 바라는 축복의 말입니다. 《예기(禮記)》나 혼례 문헌에서 자주 인용됩니다.
- 유사 성어: 해로동혈, 백년가약
거안제미 (擧案齊眉)
- 한자풀이: 擧(들 거), 案(책상 안), 齊(가지런할 제), 眉(눈썹 미)
- 풀이: 아내가 남편에게 밥상을 눈썹 높이로 공손히 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부부가 서로를 극진히 공경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후한서(後漢書) · 열전》에 전해지는 이야기입니다.
- 유사 성어: 교경지교, 금슬지락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