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가을4

한로 (寒露)

한로 (寒露)정의한로(寒露)는 24절기 중 열일곱 번째 절기로,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며 가을이 더욱 깊어지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태양 황경이 195도에 도달할 때로, 양력으로는 대체로 10월 8일 또는 9일에 해당합니다. 한로라는 이름은 "차갑다(寒)"와 "이슬(露)"이 결합된 뜻으로, 새벽녘 풀잎에 맺히는 서늘한 이슬이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이 됩니다. 2025년 한로는 10월 8일(음 8월 17일)입니다. 2025년 25절기 전체 날짜와 요일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24절기 1. 한로의 유래와 역사한로는 고대 중국에서 계절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24절기에서 유래한 절기입니다. 한로는 가을이 무르익고 점차 겨울로 향하는 시기를 가리키며, 이 시기부터 본.. 일상다반사/기념일 2025. 1. 29.

추분 (秋分)

추분 (秋分)정의추분(秋分)은 24절기 중 열여섯 번째 절기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태양 황경이 180도에 도달할 때로, 양력으로는 대체로 9월 23일 또는 24일에 해당합니다. 추분이라는 이름은 "가을(秋)"과 "나누다(分)"가 결합된 뜻으로, 가을의 중간 지점을 나타냅니다.  2025년 24절기 내용1. 추분의 유래와 역사추분은 고대 중국에서 자연의 변화를 기준으로 형성된 24절기 체계에서 유래했으며, 계절의 균형을 나타내는 중요한 시점으로 여겨졌습니다. 농경사회에서는 추분을 기준으로 수확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곡식과 과일의 결실을 거두는 시기로 인식되었습니다. 또한, 이 시기는 자연의 균형을 상징하며,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기리는 전통 의례가 발전했습니다.2. 추분.. 일상다반사/기념일 2025. 1. 29.

백로 (白露)

백로 (白露)정의백로(白露)는 24절기 중 열다섯 번째 절기로,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며 가을이 깊어지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태양 황경이 165도에 도달할 때로, 양력으로는 대체로 9월 8일 또는 9일에 해당합니다. 백로라는 이름은 "흰 이슬(白露)"이라는 뜻으로, 기온이 내려가면서 맑은 새벽에 풀잎과 물체 위에 맺히는 이슬을 상징합니다.  2025년 24절기 내용1. 백로의 유래와 역사백로는 고대 중국에서 계절적 변화와 농업적 필요에 따라 형성된 24절기 중 하나로, 여름에서 가을로의 전환을 본격적으로 알리는 시점입니다. 백로라는 이름은 새벽녘 기온이 떨어지면서 맺히는 하얀 이슬을 관찰한 데서 유래했습니다. 농경 사회에서는 백로를 가을 수확의 시작과 준비를 알리는 중요한 절기로 인식했습니다.2. 백로와 .. 일상다반사/기념일 2025. 1. 29.

가을

가을의 뜻추수하다가을은 현재의 여름 이후의 계절이 아니었다. 처음에는 추수를 뜻하는 말이었다. 봄이면 보릿가을, 가을이면 볏가을처럼 사용되어 곡식을 거두는 어떤 행위를 일컫는 표현이었다고 한다.  현재의 사정적 정의명사 한 해의 네 철 가운데 셋째 철. 여름과 겨울의 사이이며, 달로는 9~11월, 절기(節氣)로는 입추부터 입동 전까지를 이른다. 가리지금도 옛날 사람들은  낟가리나 노적가리라는 표현을 쓴다. (함께걸음, "어느새 가을은 저만치") 끊다 끊다고 곡물의 이삭을 끊어내는 것이 추수하다의 뜻이다. 하지만 어원은 살짝 다르다. 가을은 '00을 끊다'의 옛말인 '갓다'에서 왔다고 한다. 갓다는 곡물의 이삭을 끊어 내어 모아 탈곡하는 것을 의미했던 것이다. 이렇게 보면 약간의 의미는 다르지만 모두 '추.. 단어용어 2024.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