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633
춘분 (春分)

경칩 (驚蟄)

우수 (雨水)

입춘 (立春)

미니스커트 강요하는 남편 심리는 뭘까요?

남편의 의처증 왜 그럴까요?

부산과학기술대
부산과학기술대부산과학기술대 개요부산과학기술대학교(Bu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는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위치한 사립 전문대학으로, 1976년 12월 31일 성지공업전문학교로 설립되어 1977년 3월 17일 개교하였습니다. 이후 여러 차례의 교명 변경과 캠퍼스 이전을 거쳐 현재의 명칭과 위치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현재 자연과학계열, 공학계열, 인문사회계열, 예체능계열 등 4개 계열 아래 34개 학과를 운영하며,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 교류를 통해 다양한 국가의 대학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부산과학기술대 학과부산과학기술대학교는 다양한 계열에 걸쳐 여러 학과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학과는 다음과 같습니다:자연과학계열:간호학과치위생..하루 이틀 우리말 날짜 세는 법
한글로 날짜 표현 (1일부터 100일까지)우리말 날짜 읽기하루 / 1일이틀 / 2일사흘 / 3일나흘 / 4일닷새 / 5일엿새 / 6일이레 / 7일여드레 / 8일아흐레 / 9일열흘 / 10일열하루 / 11일열이틀 / 12일열사흘 / 13일열나흘 / 14일열닷새 / 15일열엿새 / 16일열이레 / 17일열여드레 / 18일열아흐레 / 19일스무날 / 20일서른날 / 30일마흔날 / 40일쉰날 / 50일예순날 / 60일일흔날 / 70일여든날 / 80일아흔날 / 90일백날 / 100일날짜 읽기열하루 / 11일열이틀 / 12일열사흘 / 13일열나흘 / 14일열닷새 / 15일열엿새 / 16일열이레 / 17일열여드레 / 18일열아흐레 / 19일스무날 / 20일스물사흘 / 23일서른사흘 / 33일마흔다섯날 / 45일쉰아..한글은 누가 만들었는가?
한글은 누가 만들었는가?한글은 조선의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재위 1418~1450)과 그의 학문적 조언자였던 집현전 학자들이 협력하여 창제한 문자입니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한자를 배우기 어려워 자신의 의사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는 점을 깊이 염려하고, 보다 쉽고 실용적인 문자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글, 즉 훈민정음이 1443년 창제되었고, 1446년 공식적으로 반포되었습니다.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훈민정음의 창제 목적은 세종대왕이 직접 쓴 훈민정음 서문에서 명확히 드러납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습니다."우리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여, 이러한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끝내 그 뜻을 펴지 못하는 자가 많으니라. 내 이..몇일 / 며칠
몇일 / 며칠 차이"몇일"과 "며칠"은 자주 혼동되는 표현이지만, 표준어는 "며칠"입니다.며칠"며칠"은 "몇"과 "일"이 합쳐진 형태로, '얼마나 되는 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시간의 경과나 특정 날짜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용례: "그가 여행을 떠난 지 며칠이 지났을까?"용례: "며칠 동안 쉬었더니 기운이 많이 회복되었다."몇일"몇일"은 잘못된 표현으로,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문장에서 "며칠"로 고쳐 써야 올바른 표현이 됩니다.정리표준어: 며칠비표준어: 몇일올바른 표현을 사용하여 문장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