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06

인니 印尼 뜻

인니 인니는 한자어로 印尼이다. 인니는 인도네시아 공화국(Republic Indonesia)의 약칭으로 인도네시아를 한자로 음역 한 것이다. 인도네시아는 인도양의 섬들(네시아)이란 뜻이다. 印 도장 인 尼 여승 니 한자어는 여승의 도장이란 뜻이지만 유럽을 구라파로 부르는 것처럼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 그럼에도 왜 굳이 이상한 한자어를 사용해 '인니'라고 한 것일까? 이것은 외래어를 굳이 한자로 표기하려는 정부의 방침 때문이다. 중국어는 소리를 문자로 표기할 수 없다. 그래서 자신들이 사용하고 있는 한자어 중에서 뜻과는 상관없이 발음이 가장 비슷한 단어를 골라 한자로 표기하기 때문이다. 한자어 印尼가 인도네시아와 발음이 가장 가까운 것이다. 이것을 한국에서 그대로 가져와 사용하게 됨으로 인도네시아가 인니가.. 단어용어 2024. 2. 7.

봄 관련 노래

봄과 관련된 노래 모음 봄의 의미 봄은 여자의 계절이라 했다. 겨울은 깨치고 태어나 봄은 새로운 탄생 시작의 의미를 갖는다. 봄은 사랑의 시작점이다. 하지만 촉촉한 봄비는 슬픔을 가져오기도 한다. 화려한 봄날의 아름다움 너머 아름다운 슬픔이 있기 마련이다. 꽃길 / 빅뱅 봄날은 간다 / 김윤아 꽃송이가 / 버스커 버스커 봄처녀 / 선우정아 우연히 봄 / 로꼬 유주 너란 봄 / 정은지 라브블러쌤 / 케이윌 봄날의 기억 / 비투비 봄을 그리다 / 어반자카파 봄이오면 /김윤아 목련꽃 필 때면 / 최성수 벚꽃길 / 장윤정 봄인가 봐 / 에릭남 웬디 벚꽃엔딩 / 버스커 버스커 봄봄봄 / 로이킴 봄이 좋냐 / 10CM 봄 사랑 벚꽃 말고 / HIGH & 아이유 봄비 / 이은하 봄날 / 방탄소년단 봄바람 / 이문세 .. 문화연예/Music 2024. 2. 6.

글쓰기를 잘하는 다섯 가지 방법

글쓰기를 잘하는 다섯 가지 방법 글쓰기는 생각을 구조화하고 공유하는 강력한 수단입니다. 효과적인 글쓰기는 깊은 사고, 명확한 표현, 그리고 독자와의 교감을 가능하게 합니다. 여기에는 창의력, 다양한 문학적 기법, 그리고 실제 예시를 활용한 글쓰기의 다섯 가지 중요한 원칙을 소개합니다. 이를 통해 당신의 글이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고, 검색 엔진에서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1. 글쓰기의 기초 두 가지 명확한 목표 설정 글을 쓰기 전에, 글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내가 무엇 때문을 글을 쓰는지를 먼저 이해하고 글을 써야 합니다. 그래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명료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추구하는 것이 설득인지, 교육인지, 아니면 단순한 오락인지를 결정하면, 글의 .. 사회경제/Blog 2024. 2. 4.

[앨범] 꽃길 / 그사람

꽃길 / 그사람 1972년 1월 11일 발매한 앨범이다. 컴필레이션 음반이며 참여한 가수는 정훈희 나훈아 문정선 바블껌 최동준 도성 리타김 조커스이다. 수록곡 SIDE A 꽃길 / 정훈희 어쩌다가 / 정훈희 흰구름 가는 길 / 나훈아 봉선화 / 문정선 아빠는 엄마만 좋아해 / 바블껌 SIDE B 그사람 / 최동준 밤열차 / 최동준 파도 / 도성 그리움이 쌓이면 / 리타김 이별의 순간 / 죠커스 문화연예/Music 2024. 2. 4.

일기 잘 쓰는 법

일기 작성의 기술: 마음을 다스리는 글쓰기 일기를 잘 쓰기 위해서는 몇 가지만 하면 됩니다. 글쓰기는 하루아침에 잘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계속 쓰다 보면 잘하게 됩니다. 일기를 잘 쓰기 위한 몇 가지의 팁을 알려 드립니다. 편안한 환경 만들기 일기를 쓰기 전에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세요. 조용하고 사적인 공간에서 글을 쓰면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기 더 쉬워집니다. 공개된 자리는 아무래도 불편합니다. 일기는 지극히 개인적인 내용이라 타인에게 보이는 것은 꺼려집니다. 일기는 자신을 위한 글입니다. 후에 누군가에게 보일 수 있지만 그것은 차후의 일입니다. 일기를 쓰는데 공개된 자리에서 누군가 나의 글을 보게 된다면 집중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 일기를 처음 쓰기 시작했다면 아무도 없는 편하고 조용.. 사회경제/Blog 2024. 2. 4.

채소의 구분과 종류

채소의 구분과 종류 개요 채소는 초본성 재배 식물을 일컫는 말입니다. 어떤 부위를 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잎채소, 줄기채소, 뿌리채소, 열매채소, 꽃채소로 구분합니다. 열매 채소에는 오이, 참외, 토마토, 딸기, 고추 등이 있습니다. 뿌리 채소에는 감자, 고구마, 양파, 당근, 연근 등이 있습니다. 줄기 채소에는 아스파라거스, 샐러리 등이 있습니다. 잎 채소에는 양상추, 배추, 시금치, 청경채 등이 있습니다. 채소와 야채의 차이점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채소 야채의 차이 구분법 채소와 야채의 차이 구분법 채소와 야채의 정의와 차이, 그리고 구분법을 알려 드립니다. 사전적 정의와 일반적 용례를 통해 설명합니다. 용어 정리 먼저 채소와 야채를 말하기 전에 과일부터 korea.osulgil.com.. Nature/식물백과 2024. 2. 4.

권사 뜻

권사(exhorter)란 권사는 두 종류가 있다. 장로교회 안에서 장로 격에 해당되는 여성의 최고 직분자를 말하며, 감리교에서는 장로교의 장로와 대등한 존재인 권사가 있다. 권사의 역사 권사는 장로교에는 없는 직분이었다. 존 웨슬리에 의해 설립된 감리교에서 시작되었으며, '권하는 자'란 뜻이다. 즉 전도자를 말했다. 그렇다고 단순히 전도하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목회자를 대신해 교인들을 돌보는 역할을 했기 때문에 교회에서 목회자와 봉사자, 전도사의 개념이 섞어 있다. 웨슬리는 권사를 선출하면서 이들에게 목회자를 돕기 위한 설교, 신앙적 권면, 심방 등을 대신하게 했다. 당시의 권사는 현재의 권사(감리교)와는 차원이 달랐으며, 현재의 목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것이 뉴잉글랜드(미국)으로 건너갔고.. 단어용어 2024. 2. 4.

보살 뜻

보살이란? 보살은 부처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한다. 즉 보살은 수행하는 사람 또는 깨달음의 경지에 오른 사람이다. 보살 단어 기원 한자 菩薩 산스크리트어 बोधिसत्त्व bodhisattva 보디사트바 팔리어 बोधिसत्त bodhisatta 보디삿따 보살은 팔리어 보디삿따를 한자어로 음역한 보리살타에서 왔다. 보리는 깨달음이다. 살타는 존재하다이다. 깨달음을 추구하는 구도자를 보살이라고 한다. 깨달음을 추구하는 모든 자가 보살이다. 보살이 성불하여 부처가 된다. 하지만 보리(깨달음)을 얻어 성불하였음에도 중생 구제를 이유로 성불하지 않고 영원히 보살로 남아있는 보살도 있다. 보살마하살 또는 권현보살이라고 부른다... 단어용어 2024. 2. 4.

2024년 블로그 변화, 어떻게 블로그를 운영할까?

2024년 블로그 운영 2024년 블로그 운영에 대한 저희 생각을 담은 글입니다. 이 글은 ChatGPT4와 나눈 대화이며, 일부분 개인적인 정보는 수정했습니다. 2024년 블로그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시작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변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ChatGPT의 활성화는 정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챗봇 시대를 살아가는 블로거들이 고민해야할 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블로그를 운영할 것인지를 고민해 봤습니다. 2024년은 블로거에게 어떤 해가 될까? 2024년은 블로거에게 다양한 기회와 도전이 공존하는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마케팅과 콘텐츠 창작의 분야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블로거들은 새로운 전략과 도구를 채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사회경제/Blog 2024. 1. 4.

라면 맛있게 끓이는 법

라면 맛있게 끓이는 법 이렇게 하면 실패 없어요! 라면, 그 누구도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의 대표적인 한식입니다. 오늘은 '라면 맛있게 끓이는 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맛있는 라면이란? 맛있는 라면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체로 국물이 진하면서도 개운하고 면이 쫄깃한 것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예전에는 쫄깃한 라면이 좋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쫄깃하지만 약간 부드러운 것이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 쫄깃함과 퍼진 정도는 불조절과 끓이는 시간에서 결정됩니다. 2. 물 조절하기 라면을 끓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물의 양입니다. 물이 너무 많으면 국물이 싱겁게, 너무 적으면 너무 짜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물을 넣을 때는 봉지에 있는 물의 양을 보고 맞추어 부은 다음 저는 반컵을 더 넣습니.. 일상다반사/생활Tip 2024.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