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52

락스 사용법

락스란 무엇인가? 락스 성분 락스는 위험하다.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왜 위험할까? 락스의 성분이 위험한 성분이기 때문이다. 락스의 성분은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Sodium hypochlorite)을 물에 녹여 4-5% 정도로 희석시킨 수용액이다. 락스가 사람의 피부나 점막 조직, 눈이나 호흡기, 소화기 점막 등에 닿으면 부식효과가 일어나 큰 해를 입는다. 락스의 위험은 단지 그 성분 때문이 아니다. 락스가 다른 성분들과 결합할 경우 염소나 클로라민 가스가 발생하는 데 이것은 폐에 굉장히 위험하다. 락스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창문을 열어 공기가 잘 통하도록 환기를 시켜줘야 한다. 그렇지 않고 밀폐된 공간에서 오래 사용할 경우 심각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아는 지인 몇 분도 락스로 화장실.. 일상다반사/생활Tip 2023. 10. 2.

띄어쓰기, 알아보자 알아봅시다

'알아보자' '알아봅시다' 띄어쓰기를 알아봅시다. '알아보자'는 붙여 씁니다. '알아봅시다'도 붙여 씁니다. 이번주 수강 신청이 가능한 지 알아보았다. 자 모두 내일 날씨가 어떤지 알아봅시다. 그렇다면 '내려보다'눈 붙여 쓸까 띄어 쓸까? 답은 띄어 써야 한다. 내려-보다. 쳐다-보다. 올려-보다. 그려-보다. 생각해-보다. 는 모두 띄어 써야 한다. 왜 동일한 보조동사를 어떤 건 띄어 쓰고, 어떤 건 붙여 쓰는지 알 수가 없네요. 하여튼 이건 그냥 '알아보자'를 붙여 쓰고 나머지는 띄어 쓰는 걸로 암기해 두면 될 것 같습니다. 단어용어 2023. 5. 27.

까마귀와 관련된 속담 모음

우리나라 사람은 까마귀를 좋게 봅니다. 하지만 서양은 흉조로 보고 쫓아 버립니다. 고구려의 깃발이 까마귀인 것을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까마귀를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까마귀가 아저씨 하겠다. 손발이 너무 더럽고 시커멓게 된 덧을 놀리는 말이다. 더러우니 씻으라는 뜻이다. 까마귀와 사촌(간) 까마귀가 검은 것에 빗대어 씻지 않고 더러운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까마귀 떡 감추듯 까마귀가 알을 물어가서 어디다 감추지만 찾기가 쉽지 않다. 이처럼 걸핏하면 물건을 잃어버리는 것을 말한다. 까마귀 고기 먹었나 잘 망각하는 사람을 두구 하는 말이다. 건망증이 심할 때 '오늘도 까마귀 고기 먹었는 가베'라고 말한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두 가지 일이 동시에 일어났지만 아무런 연관이 없는 것을 말.. 단어용어 2023. 5. 27.

맞추다 맞히다

맞추다와 맞히다의 뜻 '맞추다'와 '맞히다'는 맞는 말 틀린 말이 아니라 용법이 다르다. '정답을 맞추다'는 틀린 말이고, '정답을 맞히다'는 맞는 말이다. 하지만 '정장을 맞히다'는 틀린 말이고, '정장을 맞추다'는 바른 말이다. 맞추다 '맞추다'는 1)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 2) 다른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 3) 서로 어긋남이 없이 조화를 이루다. 는 뜻이다. 맞히다. '맞히다'는 문제에 대한 답을 틀리지 않게 하다.로 '맞다'의 사동사이다. '맞추다'와 '맞히다'의 차이는 대상이 있으냐 없으냐의 차이다. '맞히다'는 '화살로 과녁을 맟히다'이다. 옳고 그름, 정확한 기준 등을 바로 잡는 것을 '맞히다'라고 말합니다. 정답을 맞히다. 내일 일을 맞히다... 단어용어 2023. 5. 27.

틀리기 쉬운 맞춤법

우리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틀리 쉬운 맞춤법을 알아봅시다. 틀린 말 맞는 말 어의없다. 어이없다 않하다 안하다 / 하지 않다 몇일 며칠 얘기 아기 어떻해 어떡해 / 어떻게해 서슴치 않다 서슴지 않다 문안하다 무난하다 들어나다 드러나다 금새 바뀌다 금세 바뀌다 요세 요새 왠 떡이야 웬 떡이야 일일히 일일이 반드시 / 반듯이 반드시는 뭔가를 꼭 하는 것, 반듯이 바르게 맞추는 것 역활 역할 도데체 도대체 궂이 굳이 / 그걸 굳이 해야 돼? 설겆이 설거지 너와 나는 틀려 너와 나는 달라 어따 대고 얻다 대고 내일뵈요 내일 봬요 그러든 말던 그러든 말든 개거품 게거품 구렛나루 구렛나룻 널판지 널빤지 동맹이 돌멩이 성대묘사 성대모사 소맷깃 소맷귀 세 살박이 세 살배기 쉽상 십상 궁시렁거리다 구시렁거리다 널부러.. 단어용어 2023. 5. 27.

충북 진천군 이월면 지명유래

충북 진천군 이월면 지명유래입니다. 이글은 충분 진천군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대부분 수정하지 않고 이후 차료를 보충하면 수정될 수 있습니다. 충남 진천군 이월면 지명유래 송림리(松林里) 시장마을 1590년경 신잡(申雜) 선생이 노곡(老谷)마을에 안착하여 마을이 형성될 무렵 진천과 청주 등지에서 이곳을 지나 안성과 한양에 이르는 동안 주로 이곳에서 쉬어가게 되어 자연 시장이 형성되고 더욱 1913년 이월면사무소가 옮겨옴으로 인하여 시장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현재는 1일과 6일로 5일 간격 장이 선다. 대막(大幕)마을 이월면 소재지에서 서울 쪽으로 다리를 건너서면 바로 여기가 대막거리다. 옛날에 한양(서울)의 과거객(科擧客)과 상인들이 오고가며 쉬어가던 곳이다. 당시 마씨(馬氏)가 술집을 차려놓.. 여행지소개/지명유래 2023. 5. 18.

미역의 성분과 효능

미역의 성분과 효능 미역은 갈조류에 속하는 해초류입니다. 하지만 식물이 아니라 원생생물로 분류합니다. 균과 같은 종류는 아니지만 그렇다면 식물이나 동물 같은 그런 류도 아닌 일종의 중간단계의 생물입니다. 이런 복잡한 이야기는 굳이 알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미역은 생일날 먹는 것으로 유명하죠.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미역에는 어떤 성분이 있고, 효능이 있는지를 알아봅시다. 미역의 영양가 미역은 식이섬유, 단백질, 비타민(C, E, K) 및 미네랄(칼슘, 철분, 마그네슘)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철분 함량이 높아 빈혈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식이섬유 미역은 풍부한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식이섬유는 소화를 돕고 변비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단백질 미역.. Nature 2023. 5.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