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북 진천군 덕산읍 지명유래

@지식창고 발행일 : 2023-05-18
반응형

진천군 덕산읍 지명유래

충북 진천군의 각 지역과 마을에 대한 지명 유래입니다. 모든 지명을 다룰 수 없으므로 읍과 면 단위로 분리하여 소개합니다. *이글은 대부분 충천북도 진천군 홈페지에 소개된 지명유래를 참조하여 필자의 임의대로 수정 증보하여 사용했음을 알립니다.

 

충청북도 진천군 홈페이지

 

용몽리(龍夢里)

 

안꿈말

 

이마을은 당초 시장 다리가에 살던 선인(先人)들이 서기 1611년 홍수(洪水)로 큰 수해를 입어 고심(苦心)하던 끝에 순당(蓴塘) 채진형(蔡震亨)이 꿈을 얻어 현 안꿈말 장소에 마을을 형성하고 안주(安住)하게 되니 이에 연유(緣由)하여 꿈마을이라 일컫게 되고, 그 후 꿈말 구말로 변하여 몽촌(夢村)이라 한다. 채진영은 본래 성품이 강직하여 광해조(光海朝)의 폭정(暴政)을 보고 사마(司馬ㆍㆍ벼슬자리)로 대학(大學)에 있으면서 바른말을 하다가 불리하게 되므로 관직을 그만두고 덕산면 몽촌에 와 초야(草野)에서 한거(閑居)한 것이다. 그가 마을 사람들과 마을 앞에 방죽을 파고 순채(蓴采)를 이식(移植)하여 특산물로서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자기 호도 순당(蓴塘)이라 칭하고 마을 입구에는 은행나무를 심어 마을의 안전과 자손이 많이 번성하기를 빌며 치산치수(治山治水)에 힘써 왔다. 이 은행나무는 지금도 마을의 명물로 위용(威容)을 자랑하며 오고 가는 사람의 발걸음을 멈추게 하고 마을의 파수꾼 노릇을 하고 있다. 마을가구수는 30여 호에 인구 140여 명이며 채씨(蔡氏)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순채(蓴采)란 수련과(睡蓮科)에 딸린 다년생(多年生) 풀이며, 연못 같은 곳에 저절로 나는데 잎은 타원형 전변으로 방패 같고 물 위에 뜨며 새로 난 줄기와 잎은 점액(粘液)을 분비(分泌)하고 여름에 암자색(暗紫色)의 작은 꽃이 낮에 피며 어린 잎은 식용(食用)으로 쓰이고 있다. 순채 잎사귀를 오미자의 국물에 넣고 꿀을 타면 순채차(蓴采茶)가 되며 순채의 어린 잎으로 국을 끓이면 순채탕이 되고 순채의 연한 잎을 잠깐 데쳐서 찬 물에 건져내어 초장에 찍어 먹으면 순채회가 된다.

 

시장(市場)마을

 

시장마을을 구말 장터라 한다. 1933년 한천리(閑川里)에 있는 시장마을이 홍수로 인하여 유실(流失)되었다. 그 후 몽촌(夢村)으로 이전하였는데 현 몽촌을 당시에 구말이라 하였기에 구말장터라고 시장명이 붙었다. 구말장 하면 농산물 집산지로 시장의 규모나 크기로 유명하다. 주로 진천읍, 초평면, 덕산면, 음성군 맹동면, 대소면 등 5개 읍면민들은 물론 멀리 청주, 증평, 음성, 안성, 천안 등지에서까지 구말장을 찾아오는 곳으로 특히 고추시장으로 유명한 곳이다.

 

묘봉(妙峰)마을

 

묘봉마을을 묘봉골이라 한다. 백봉산에 있는 산봉우리가 백사봉(白砂峰)으로 묘하게 생기었기에 묘봉이라 하였다. 50여 호 가구에 약 300여 년 전부터 평강 채씨, 달성 서씨, 김해 김씨들이 대성을 이루고 있으며 면내 관광지로 유명하다.

 

용소(龍沼)마을 용소마을은 약 200여 년 전에 마을이 생성(生成)되었으며 전설에 의하면 200년 전에 마을 앞 논에 큰 연못이 있었는데, 이 연못에서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 하여 용용(龍)자와 못 소(沼)자를 써서 용소마을이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약 60여 호에 고추 담배가 특산물이다.

 

구산리(九山里)

 

구산리는 산(山)의 지형이 개의 형국이라 하여 개구(狗)자 뫼산(山)자를 써서 구산(狗山)이라 하였는데 구산(九山)으로 변하였다. 구산마을을 개미실이라고 하며 윗개미실과 아랫개미실로 나누어 부른다. 윗개미실은 내 상류(上流)에 위치하므로 윗개미실이요, 내 하류(下流)에 있는 마을을 아랫개미실이라 한다. 그러나 행정구역명(行政區域名)으로는 아랫개미실을 상구(上九)라 했고, 윗개미실을 하구(下九)라고 했으니 이는 옛날에 아랫개미실에 사는 세도가(勢道家)들이 여기가 상구(上九)라고 어기어 아랫개미실을 상구(上九)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 한 설(設)은 동네 모양이 지형상(地形象)으로 개미 허리와 비슷하다 하여 개미실이란 속칭이 생기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상하마을이 모두 40여 호씩 되며 옛부터 산수 좋고, 인심 좋은 부락으로 유명한 곳이다. 주산물은 미곡과 담배 고추 등이며, 아랫개미실(상구) 어구에는 방죽이 있어 영농에 큰 몫을 하고 마을의 운치를 이루고 있다.

 

 

꿀샘

 

덕산면 구산리 상구부락(아랫개미실)에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샘이 있는데 이 샘을 꿀샘이라 한다. 물맛이 좋고 용수량(湧水量)이 많아 이 샘물이 젖줄이 되어 농사 짓는 데 큰 몫을 담당한다. 물을 마시고 농사에 도움을 주는 이 샘이야말로 주민들에게는 그야말로 꿀샘이 아닐 수 없다. 언제부터인가 주민들은 꿀샘을 정결하게 하고 고사(告祀)를 지내는 풍습(風習)이 생겼다. 이 꿀샘에는 요왕(妖王)이 있어 토지지신(土地之神), 곡물지신(穀物之神)의 위력을 가진 요왕이라 하여 1년에 한 번씩 제물을 차리어 놓고 고사를 지내는데 천재지변(天災地變) 없이 풍우순조(風雨順調)하여 오곡백과가 풍등(風登)하여 주민들의 의식주가 풍요(風饒)하게 되고 악성질병 없이 무사태평하여 수명 장수하도록 지도치성하는 것이다. 부정(不淨)한 사람이 제사를 올리거나 제물을 바치지 않을 경우 요왕이 노하여 농사는 흉작을 면치 못하고 질병과 한해와 폭우로 동네를 휩쓸어 온다하여 매년 정월 초이튿날(음력) 주민들은 곱게 단장하고 정성어린 마음으로 고사를 지내고 있다.

 

동산(東山)마을

 

동산마을을 동산말이라고 한다. 개미실 동네앞 동산에 자리잡은 동네이기에 동산말이란 동명이 붙었다고 한다. 30여 호 가구에 고추와 담배가 많이 재배되고 있다.

 

도장(道長)마을

 

도장마을을 도장골이라 한다. 마을 동남쪽 100m 지점인 뒷동산에서 풍수지리에 능한 중이 백일 기도를 하고 그곳에 조그마한 절을 지어놓고 불도(佛道)를 닦았던 곳이라 하여 도장(道場)이라 칭하여 오다가 일제강점기에 행정기록의 착오로 도장(道長)이라 기록이 되었다 한다. 현재 절터나 절의 흔적은 없지만, 선인들이 도를 닦던 곳으로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고요하고 한적한 분위기를 느낄 수가 있다. 30여 호 가구에 함양(咸陽) 박씨들이 대성을 이루고 있다.

 

한천리(閑川里)

 

한천마을

 

한천마을을 구시울이라 한다. 마을이 생성되기는 약60여 년 되며 한천가에 평야지대로 매년 풍년을 기약하는 살기 좋은 마을로 형성되었다 하여 구서울로 전해 내려온다. 현재는 구실로 변하였으며, 약 30여 호 가구가 영농에 힘쓰며 생산되는 쌀은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두촌리(斗村里)

 

상대마을

 

상대마을을 차돌배기와 강당말로 나눈다. 옛날 선인(先人)들은 이 지방을 이화낙지형(梨花落地形)이라 불렀다. 즉 배나무 꽃이 산발적으로 떨어지는 형국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강당말을 이화강당말이라고도 했다. 강당말에서 남천동네 가는 곳을 배나무골이라 한다. 모두 이화낙지형에 연유된 이름들이다. 이 지방엔 진천 송씨의 시조(始祖)인 상산백(常山伯) 송인(宋仁)은 고려중기 인종(仁宗) 때에 평장사(平章事) 수상(首相)을 지낸 분으로 두촌리를 근거로 그 후손들이 850여년 동안 진천에서 상산 임씨(常山林氏) 다음으로 오래된 성씨(姓名)로서 세거(世居)하여왔다. 송인의 묘소가 이곳에 있으며 이 산줄기 밑에 지하수가 솟아 나오는 샘이 있는데 이 샘속에 차돌이 늘어 박혀 동네 이름을 차돌백이라 한다. 차돌백이 앞에 강당을 짓고 학동(學童)을 모아 글을 가르쳐 왔으며, 이 곳에 마을이 생성(生成)되어 이화강당말이라고 불리어 왔다. 이 두 동네를 합쳐서 집을 세우는데 최고의 명당 자리다 하여 상대라 한다. 현재는 이곳에 두촌 초등학교가 자리잡고 있다.

 

남천(藍泉)마을

 

고려말기 산중턱 줄기 아래 조그마한 물줄기가 솟아 나오는 것을 발견하고 샘을 팠다. 물맛도 일미려니와 마을이 형성된 후 주민들은 쪽바가지로 이 샘물을 떠서 식수로 하게 되었다. 그 후 동명을 쪽샘골이라 이름하여 오다가 현재는 쪽남(藍)자와 샘천(泉)이라 불리어 오고 있다.

 

합목리(合牧里)

 

합목리는 목골(하목)과 방죽안(상목)을 합치었기에 합목리라 부른다.

 

상목(上牧)마을

 

방죽안이라 하는데 약 150여 년 전 동네 한복판에 큰 방죽이 있었다 하여 방죽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약 60여 호에 미질이 좋은 쌀을 생산하고 있다.

 

하목(下牧)마을

 

목골이라 한다. 진천 덕산간의 길목에 있다 하여 목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지만 목사(牧使)의 부하들이 주둔하고 있던 곳이라 하여 목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옥동리(玉洞里)

 

양암(陽岩)마을 양암마을을 양푼바위라 한다. 비교적 이 지방에는 돌이 귀한 곳인데 이 마을에 큰 바위가 있어 양푼 같이 생겼다 하여 양푼바위라는 동명이 생겼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옥동 초등학교가 바로 이 소재지에 자리잡고 있다.

 

옥골마을

 

마을의 위치는 낮은 평야지대로서 앞으로는 한천천이 흐르고 위로는 미호천이 종으로 흐르고 있는 곳에 약 230년 전에 평강 채씨(蔡氏)가 이 마을에 맨 먼저 들어와 살았으며 미호천이 위치한 평야지대는 아무리 가뭄이 들어도 물 걱정을 하지않아 옥 같은 쌀이 생산된다 하여 옥골이라 칭하게 되었다 하며 마을 앞에 위치하고 있는 방죽에는 연이 무성하여 여름 한 철에는 연꽃에서 발하는 특유한 향기는 지나가는 사람의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약 50여 호에 호당 소득이 높은 자립 마을이다.

 

기전리

 

기지마을

 

기지마을을 트미실이라 한다. 면소재지여서 약 4km 떨어져 초평면 금곡리와 경계로 하여 위치한 곳으로 약 600년 전에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마을의 모습이 꼭 베틀모양을 하고 있는 형국(形局)이라 하며 마을 가운데 연못이 있어 베틀기자와 못지(池)자를 써서 기지라 하게 되었다 한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을 도와 많은 전공을 세운 이영남(李英男)장군이 태어난 곳이기도 하며 현재 마을 서편에 장군의 묘소가 자리 잡고 있다. 약 50여호 가구에 창녕조씨(昌寧曹氏)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선옥(善玉)마을

 

선옥마을은 태종대왕(太宗大王)의 후예 선경군(善慶君)이 낙향(落鄕)한 곳이며 마을 입구 산에 수정(水晶)같은 차돌이 분포되어 있어, 선경군의 착할 선(善)자와 차돌이 구슬 같다 하여 구슬 옥(玉)자를 써서 동명(洞名)이 선옥(善玉)이 되었다 한다. 이 마을은 350여 년 전에 형성되었다 하며 약 30여 호에 전주 이씨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석장리(石帳里)

 

대화(大化)마을 약 300여 년 전에 마을이 형성되어 지금에 이르렀으며 일개 마을이 4개 자연 마을으로 나누어져 가장 호수가 많은 대월리가 8호로 마을 형성의 초기에 제일 먼저 집이 있었다고 하며 타지에서 보름달을 볼 때 가장 크게 보였다고 해서 대월리(大月里)라 칭하다가 연대 미상에 대화(大化)로 변경되어 지금에 이르렀다 한다.

 

하석(下石)마을

 

하석마을을 윗돌실이라 한다. 석맥(石脈)이 석장리 일대에 뻗혀 돌실이라 동명이 된것은 아무도 의심할 여지가 없다. 약 50여 호에 450여 년 전부터 기계유씨(杞溪兪時)가 대성을 이루고 살아 왔으며 특히 일제강점기 때부터 담배 생산지로 유명하다. 지금도 밭 면적의 70%가 담배 경작지라고 한다.

 

장암(帳岩)마을

 

장암마을을 아래 돌실이라 한다. 마을의 형성은 동학난(東學亂)이전에 7호가 살았으며 앞 냇가에 바위가 있고, 바위 위에서 낚시질도 하였다 하며 이 바위로 인하여 돌실이라 이름이 붙게 되었다. 이 바위의 뿌리는 석장리 일대에 뻗혀 마을에 힘이 센 장사가 많이 있었고 인근 마을에서는 돌실 사람들을 힘으로 당할 사람이 없다고까지 하였다고 한다. 돌실 사람중에는 전국 체전에 씨름 충북 대표 선수로 출전한 사례가 있다 한다. 한양조씨(漢陽趙氏)가 대성을 이루고있다.

 

화상리(花上里)

 

상고(上古)마을 상고마을을 위고재라 한다. 옛날에 화상리 일대에 진달래 및 철쭉꽃이 매우 많아 꽃재라 불리어 왔으나 어느덧 고재로 변하고 말았다. 따라서, 윗동네를 윗고재(上古) 아래동네를 아래고재(下古)라 한다. 상고마을은 약 30여 호에 김씨 이씨가 대성을 이루고 마을의 역사는 한 500여 년 된다고 한다.

 

하고(下古)마을

 

하고마을을 아래고재라 한다. 약 50 여 호 가구에 박씨와 최씨가 대성을 이루고 있으며, 주산물은 쌀과 고추가 많이 생산된다.

 

귀농(歸農)마을

 

귀농마을을 정착지(定着地)라고도 한다. 1961년 7월 18일 국가 재건 최고 회의의 긴급 경제 대책에 의하여 동년 8월 22일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화상리 현장에 50세대 321명이 귀농 정착하였다. 세대당 6,000평의 토지를 기준으로 30만 평을 확보하여 동년 11월 20일 개간사업을 완료하고, 입주식을 거행하여 귀농 정착 마을을 형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주산물로는 사과가 많이 생산되며 부업으로 가축을 많이 기르고 있고, 초지(草地)도 조성하여 완전한 정착촌을 이루려고 모든 주민이 한결같이 땀흘려 일하고 있는 마을이다.

 

인산리(仁山里)

 

어지미(魚池味)

 

상옛 선인(先人)들이 앞들에 있는 못에서 고기를 낚아 먹으니 고기 맛이 일품이었다. 이 곳에서 정착하여 살아오다 고기 어(魚) 자에 못 지(池) 자, 맛 미(味)자를 써서 어지미(魚池味)라 칭하게 되었다. 약 60여 호에 쌀과 고추 담배를 생산하고 있다.

 

인산(仁山)말

 

마을 뒷산에 큰애기 무덤이 있으며 큰애기봉에서 사방을 바라보는 경치가 아름다워 인근의 시인묵객(詩人墨客)이 끊이지 않았다. 또 학자들도 많이 왕래하였다. 그런고로 어진 사람이 노는 산이라 하여 어질 인(仁) 자와 뫼 산(山)자를 써서 인산(仁山)이라 하였다 한다.

 

신척리(新尺里)

 

홍개(洪介)마을

 

고려에 충성하던 경주 김씨들이 고려가 망하고 이씨조선이 서자 벼슬을 버리고 홍개마을에 낙향(落鄕)하여 홍포(洪布ㆍㆍㆍ붉은 관복)를 벗고 살았다 하여 동명(洞名)이 홍포(紅布)라 전래되어 왔으며, 일제강점기 말 행정구역 개편으로 홍개로 칭하여지고 있다. 홍개 뒷산에 그 당시 심었다는 향나무가 그 위용과 60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마을의 운치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있으며 전설에 의하면 이 향나무를 해치거나 보호하지 아니하면 온동네가 큰 재난을 만난다 하여 전 주민이 알뜰하게 보호하고 있어 현재까지도 원형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50여 호에 김씨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홍개마을 풍경

 

가척加尺)마을

 

가척마을을 가재울이라 한다. 고려말 경주 김씨 벼슬아치가 이곳에 낙향 하여 눈물로 한탄하며 지내던 중 가재 한 마리가 우물 속에 매일 나타났다 하여 이로 연유하여 가재울이라 칭하게 되었다. 근 100여 호에 김씨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산수리(山水里)

 

중방(中芳)마을

 

중방마을을 골방골이라 한다. 한동네이지만, 윗마을 중방 아랫마을을 고수말이라 한다. 조선 말엽 약 250여 년 전부터 방동면(方洞面) 소재지엿으며 그 후 행정구역 개편으로 덕산면에 속하게 되었다. 동네가 아름다워 꽃다울 방(芳)자와 마을 동(洞)자를 써서 방동(芳洞)이라 하며 방골이라 칭하게 되었다. 또한 산수가 좋다하여 산수리(山水里)라고 법정리동명이 붙었다. 약 90여 호에 쌀과 고추 담배가 주산물이다.

 

매산(梅山)마을

 

매산마을을 벌방골이라 한다. 매산은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이라 하여 매화꽃이 떨어지는 형국을 말하며 중방마을이 생긴 후, 영농조건이 좋고 산이 아름다워 매산(梅山)이라 하였으며, 들 가운데 있다하여 벌방골이라 칭하게 되었다. 약 110여 호에 쌀 고추 담배가 주산물이다. 동네 한편에 매산 초등학교가 자리잡고 있으며 수리 시설이 좋은 영농지다.

 

 

반응형

댓글